아모레퍼시픽은 국내외 채널 재정비와 브랜드 전략 강화로 실적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리밸런싱 성과와 더마·프리미엄 브랜드 중심의 확장이 실적 개선의 핵심입니다.
2분기 실적, 기대치 부합 탄탄한 회복세 이어져
2025년 2분기 아모레퍼시픽의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한 1조 50억원, 영업이익은 737억원으로 무려 1,673.4% 증가하는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일회성 인건비 부담에도 불구하고 마케팅 효율화를 통해 시장 컨센서스를 충족하는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국내외 전통 채널의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었고, 이는 연중 실적 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 면세점과 온라인 채널이 성장을 견인
국내 시장에서는 화장품 부문이 7% 성장하며 4,54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데일리 뷰티 제품도 MBS 및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12% 증가했습니다. 특히 면세점 매출은 23% 증가하며 회복세를 이끌었고, MBS 채널은 30%의 성장률을 보이며 온라인 중심의 전략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통 오프라인 유통 구조에서 벗어나 디지털 채널과 프리미엄 라인업을 강화한 점이 매출 믹스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 구조 개편 효과 본격화
풍산, 방산·메탈 쌍끌이 성장
방산과 신동 부문의 쌍두마차로 다시 주목받는 풍산. 단기 실적보다 중장기 성장에 방점이 찍히는 가운데, 변화된 글로벌 환경 속에서 풍산의 전략이 어떻게 빛을 발할지 짚어봅니다.풍산, 단기
111.infofriend79.com
중국 법인의 경우, 구조조정 효과가 본격화되며 2분기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31%의 매출 증가를 보였으며, 온라인 채널 중심의 전략이 주효했습니다. 설화수와 려 같은 프리미엄 브랜드를 중심으로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더마 및 럭셔리 브랜드 신규 런칭을 통해 장기적인 성장 발판도 마련하고 있습니다.
서구권 시장, 라네즈 중심으로 확장세 지속
북미와 유럽 등 서구권 시장에서도 라네즈 브랜드를 중심으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영국 중심의 견조한 매출 흐름이 유지되고 있으며, 북미에서는 립 제품뿐만 아니라 스킨케어 영역까지 확장 중입니다. 더불어 에스트라와 한율 브랜드의 런칭이 완료되면서 신규 성장 동력 확보에도 성공하고 있습니다.
COSRX, 유통 안정화 이후 반등 기대
COSRX는 상반기 동안 매출 약세가 지속되며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2분기에는 30%대 역성장이 추정되며, 유통 구조 개선을 위해 거래처 정비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하반기 큰 폭의 반등은 쉽지 않겠지만, 구조 안정화 이후 점진적인 실적 개선이 예상됩니다. COSRX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만큼 향후 성장세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ESG 측면에서도 긍정적 평가
퇴직연금 DC형 퇴사 전 꼭 알아야 할 IRP 이전과 중도인출 조건
퇴직연금 DC형 변경과 IRP 이전, 중도인출 가능 조건부터 퇴사 후 수령 방법까지. 세액공제와 절세 전략까지 정확히 안내합니다.퇴직 앞둔 직장인이라면, DC형 퇴직연금 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되
111.infofriend79.com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 측면에서 아모레퍼시픽은 주요 지표에서 '우수' 이상의 등급을 획득했습니다. 특히 이사회 구조와 윤리경영, ESG 경영의사 결정 체계에서 매우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으며, ESG 투자 수요가 높아지는 흐름 속에서 기업 이미지 제고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목표주가 170,000원
현재 아모레퍼시픽의 주가는 131,500원으로, 목표주가 170,000원 대비 약 29%의 상승 여력이 남아 있습니다. 2025년 예상 PER은 27.9배, ROE는 5.4% 수준으로, 중국 및 서구권 시장 회복이 더욱 가속화된다면 밸류에이션 매력도는 더욱 부각될 것입니다. 특히 전통 채널의 효율화와 디지털 전환이 지속되는 가운데, 고수익 브랜드 위주의 매출 구조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지금, 아모레퍼시픽을 다시 봐야 하는 이유
아모레퍼시픽은 국내외 채널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다시 한 번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브랜드 재편과 더마 및 프리미엄 라인업 확장은 장기적인 경쟁력을 높여줄 전략입니다. 단기적으로는 COSRX의 반등 여부가 관건이지만, 전반적인 흐름은 우상향을 향하고 있습니다. 투자 관점에서 여전히 매력적인 구간으로 판단됩니다.